딱작가의 좋아서 story :)
한자 급수 [5급] ㅂ, ㅅ 본문

法(법 법)
1.법 2.방법 3.본받다
*유의자: 規(법 규) 式(법 식) 典(법 전)
則(법칙 칙) 律(법 률, 4급Ⅱ)
[法式 법식] 법도와 양식
[國法 국법] 나라의 구성과 통치활동을 규정하는 법규
[軍法 군법] 군에서 적용하는 모든 법규
[方法 방법] 일정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취하는 수단
[不法 불법] 법이나 도리 따위에 어긋남
[立法 입법] 법률을 제정함
[合法 합법] 법령 또는 법식에 맞음
變(변할 변)
1.변하다 2.고치다 3.재앙. 변고
*약자: 变
[變動 변동] 변하여 움직임
[變色 변색] 빛깔이 달라짐
[變身 변신] 몸의 모양이나 태도를 바꿈
[變質 변질] 성질이나 물질이 변함
[變形 변형] 모양이나 형태가 달라지거나 달라지게 함
[變化 변화] 모양, 성질이 바뀌어 달라짐
[不變 불변] 사물의 모양이나 성질이 변하지 아니함.
또는 변하게 하지 아니함
[朝變夕改 조변석개] 아침 저녁으로 뜯어고친다는 뜻으로,
계획이나 결정 따위를 자주 바꾸는 것을 이르는 말
兵(병사 병)
1.병사. 병졸 2.무기 3.전쟁
*유의자: 軍(군사 군) 士(선비 사) 卒(마칠 졸)
*상대자: 將(장수 장, 4급Ⅱ)
[兵力 병력] 군대의 힘
[兵法 병법] 전쟁을 하는 방법
[兵士 병사] 군사. 사병
[兵卒 병졸] 군사
[民兵 민병] 국가의 위급에 대처해 민간에서 조직한 군사
福(복 복)
1.복 2.상서롭다 3.음복하다
*유의자ㅏ: 幸(다행 행)
*상대자: 禍(재앙 화, 3급Ⅱ)
[福利 복리] 행복과 이익
[多福 다복] 복이 많음
[人福 인복] 사람의 도움을 많이 받는 복. 인덕
[幸福 행복] 생활의 만족과 삶의 보람을 느끼는 흐뭇한 상태
奉(받을 봉)
1.받들다 2.바치다 3.녹봉
*유의자: 仕(섬길/벼슬할 사)
[奉讀 봉독] 남의 글을 받들어 읽음
[奉仕 봉사] 국가나 사회 또는 남을 위하여 자신을 돌보지 않고 애씀
[奉養 봉양] 어버이나 할아버지·할머니를 받들어 모시고 섬김
[信奉 신봉] 믿고 받듦
比(견줄 비)
1.견주다 2.나란히 하다 3.비례
*유의자: 較(비교/견줄 교, 3급Ⅱ)
[比例 비례] 한쪽의 양이 증가하는 만큼 그와 관련된
다른 쪽의 양도 증가함
[比重 비중] 다른 사물과 견주어지는 사물의 중요성
[對比 대비] 서로 맞대어 견줌
費(쓸 비)
1.쓰다 2.소모하다 3.비용
*유의자: 用(쓸 용)
[費用 비용] 살림이나 어떤 일을 하는 데 드는 돈
[國費 국비] 나라에서 대는 비용
[消費 소비] 재화, 노력, 시간 등을 들이거나 써서 없앰
[食費 식비] 먹는 데 드는 비용
[自費 자비] 필요한 비용을 자기가 부담하는 것. 또는 그 비용
[車費 차비] 차를 타는 데 드는 비용
[學費 학비] 공부하는 데 드는 돈
[會費 회비] 회의 개설, 유지에 드는 비용
鼻(코 비)
1.코 2.시초
[鼻音 비음] 코가 막힌 듯이 내는 소리
[鼻祖 비조] 어떤 일을 가장 먼저 시작한 사람. 원조
[耳目口鼻 이목구비] 귀, 눈, 입, 코를 아울러 이르는 말.
또는 귀, 눈, 입, 코를 중심으로 한 얼굴의 생김새
氷(얼음 빙)
얼음
[氷山 빙산] 극지 빙하의 얼음이 밀려와서 바다에
산처럼 떠 있는 얼음덩이
[氷上 빙상] 얼음판의 위
[氷水 빙수] 얼음물. 얼음을 갈아서 눈과 같이 만들어
설탕, 과즙 따위를 섞은 것
[氷河 빙하] 얼음이 얼어붙은 큰 강
[結氷 결빙] 물이 얼어붙음
寫(베낄 사)
1.베끼다 2.그리다 3.본뜨다
*약자: 写
*유의자: 謄(베낄 등, 2급)
[寫本 사본] 원본을 그대로 옮기어 베낌. 또는 베낀 책이나 서류
[寫生 사생] 실물이나 경치를 있는 그대로 그리는 일
[實寫 실사] 실물, 실경, 실황 따위를 그리거나 찍음.
또는 그런 그림이나 사진
[出寫 출사] 사진사가 출장 가서 사진을 찍음
[筆寫 필사] 베껴 씀
#한자완전정복 #한자5급 #한자급수사전 #한자급수 #급수한자 #한자시험 #배정한자 #한자사전
#한자찾기 #한자검색 #한자능력검정시험 #한자정복 #한자
#법법 #변할변 #병사병 #복복 #받들봉 #견줄비 #쓸비 #코비 #얼음빙 #베낄사
'한자뿌시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자 [5급] ㅅ (1) | 2022.07.21 |
---|---|
한자 급수 [5급] ㅁ, ㅂ (0) | 2022.05.09 |
한자 급수 [5급] ㄹ (0) | 2022.05.06 |
한자 급수 [5급] ㄷ, ㄹ (0) | 2022.05.04 |
한자 급수 [5급] ㄱ, ㄴ, ㄷ (0) | 2022.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