딱작가의 좋아서 story :)
[궁금증 해결] 일반우유와 멸균우유의 차이 본문
평소 즐겨 마시는 우유지만 너를 너무 모른다는 생각이 들어...
우유의 효능, 유통기한, 특히 궁금했던 일반우유와 멸균우유의 차이에 대해 쏙쏙 알아봄

우유
출처: 다음백과사전
소의 젖. 독특한 냄새와 맛이 있다. 소가 가축으로 길들여진 1만~1만 2,000년 전에 유럽 지역에서 처음으로 우유를 먹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우유의 성분은 젖소의 품종·건강상태·연령·사육방법·계절 등에 따라 차이가 있다. 우유단백질의 주성분은 카세인이고, 우유지방은 저급 지방산(부티르산)이 많이 들어 있다. 그밖에 인과 칼슘, 거의 모든 종류의 비타민류를 포함하고 있다. 우유는 가열·살균하여 적은 단위용량으로 포장한 뒤 시판된다. 우유살균법에는 저온살균과 완전살균이 있다.
우유의 성분
우유에는 수분 85~88%, 지방 3.5~4.8%, 단백질 3.3~3.8%, 회분 0.7~0.8%, 당분 4.7~4.9%, 무지방고형분 8.7~9.4%이 들어 있다. 우유단백질의 주성분은 카세인이다. 인단백질에 속하는 카세인은 칼슘과 결합해서 콜로이드처럼 뿌연 상태가 된다. 당분의 99.8% 이상이 젖당이고, 글루코오스와갈락토오스가 나머지를 이룬다. 특히 갈락토오스는 인지질과 함께 뇌의 발육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회분으로는 인과 칼슘이 많으며, 거의 모든 종류의 비타민류를 포함하고 있다.
유제품
우유는 가열·살균하여 적은 단위용량으로 포장한 뒤 시판된다. 우유살균법에는 저온살균과 완전살균이 있다.
우유의 포장은 과거에 유리병을 많이 사용했으나 현재는 대부분 종이와 플라스틱제 용기를 사용하고 있다.
우유는 가공되지 않은 상태에서 빨리 부패되며, 저온살균했을 때도 3~5일 정도만 보관이 가능하다.
우유의 특징
우유는 인체에 필수적인 영양소인 칼슘 성분이 풍부하고 양질의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무기질 등
각종 영양소가 골고루 함유된 완전식품으로 성장기의 아동이나 성인 모두에게 중요한 식품이다.
내용성분의 소화 흡수도 좋고 특히 한국인이 부족되기 쉬운 칼슘의 공급원이다.
우유에 들어있는 칼슘은 성장기 어린이들뿐 아니라 성인에게도 좋은데,
골다공증을 예방해주고 뼈를 튼튼하게 해 준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우유의 유당 성분은 장속의 유산균의 증식을 도와 장을 튼튼하게 해주고 변비를 예방해 준다.
우유의 트립토판이라는 성분은 우울증 치료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다만 성인의 경우,
우유 속에 들어있는 유당(乳糖, lactose)을 분해하는 효소인 락타아제(lactase)가 없는 경우
유당을 소화하지 못하는 유당불내증을 겪을 수가 있다. 이 경우
치즈나 버터 같은 유가공식품이나 요거트와 같은 발효유를 통해 우유의 성분을 섭취할 수 있다.
우유 고르는 법
유백색을 띠고 있으며, 냉장 보관되어 있고, 고유의 향기가 나야 한다.
유통 기한이 지났거나 포장 용기가 부풀어 있는 것, 쉰 듯한 냄새가 나는 것은 피한다.

일반우유와 멸균우유의 차이
출처: 나무위키백과
모든 원유는 인체에 유해한 병원성 미생물을 사멸시키기 위해 살균처리 과정을 거친다.
원료유가 함유하고 있는 영양소의 손실을 최소한으로 하는 범위 내에서 세균함량을 가능한 한 적게 함과 동시에
일부 존재할 수도 있는 병원성 세균을 완전히 사멸시키고 리파아제(lipase:지방분해효소)와 같은 효소를 파괴시켜
위생적이고 안전하게 저장성을 높이기 위해 실시하는 열처리를 한다.
이 과정에서 원유가 함유하고 있는 영양분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63℃에서 135℃ 정도의 온도에서 열처리한 것이
일반우유이다. 때문에 일반우유는 원유 본연의 신선한 맛을 그대로 느낄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 있다.
그러나 멸균우유에 비해 가격이 비싸고 유통기한이 냉장보관 기준 7~14일 정도로 멸균우유에 비해 비교적 짧다.
우유를 장기간 보존하기 위해 135~150°C에서 2~5초간 가열하여 일반 실온에서 자랄 수 있는 모든 미생물을 완전히
사멸시키는 초고온 멸균법을 사용한 우유가 멸균우유이다. 일반적인 살균 우유보다 보관과 유통에 유리하다.
일반 우유에 비해 영양소가 더 파괴된 게 아니냐 걱정하는 사람도 있지만, 멸균 우유의 영양소는 일반 우유와 비교해서
별 차이가 나지 않는다. 또 간혹 이름 때문에 '장내 미생물까지 멸균시키는 거 아냐?'라고 오해를 품는 경우가 있는데,
'멸균 우유'는 '식품'이지 '멸균제'가 아니다. 고도의 살균 처리가 끝난 우유라고 해서 멸균 우유라는 이름이 붙여졌을 뿐이다.
대체로 같은 멸균 과정을 거친 테트라팩 포장으로 유통된다. 유통상 제한이 적어 가격이 저렴하고,
개봉을 하지 않는다면 냉장 보관을 하지 않은 상태로 유통기한도 수개월로 상당히 길기 때문에 1인 가정이나
우유를 자주 먹지 않는 집에서 유용하다. 맛은 일반 우유에 비해 약간 밍밍하다거나
특유의 구수한 맛이 난다는 평이 있지만, 제조사마다 맛의 차이가 있다.
간혹 우유를 사다놓고 유통기한이 지날 때가 있어서 멸균 우유가 떠올랐고 오늘의 궁금증이 등장!!
일반 우유와 멸균 우유,, 생각보다 그리 큰 차이는 없는 것 같다:)
어릴 때부터 키 때문에(비록 크다 말았지만..ㅠㅠ) 하루에 1000ml씩 우유를 먹어서 우유 맛에 좀 민감한 편인데
예전에 멸균 우유를 먹어보고 세상 없는 밍밍함을 느끼고
'멸균 우유는 진짜 맛이가 없구나, 절대 안 먹어!!'라는 이미지가 강하게 생겼었다
더불어 영양가도 당연히 없겠지 했는데 그런건 아닌가보다ㅎㅎ
멸균 우유의 최대 장점은 역시 유통기한 아니겠어??~~ 유통기한을 생각하면 멸균 우유를 사고 싶기도 하지만..
나는 맛 때문에 멸균우유는 못 먹을 것 같다 세상없는 밍밍함.. 요건 개취니까ㅎㅎ
ㅇ ㅓ ㅉ ㅐ ㅆ ㄷ ㅡ ㄴ 궁금증 해결!!

#일반우유와멸균우유의차이 #살균우유와멸균우유의차이 #우유에대해서알기
#우유 #일반우유 #살균우유 #멸균우유 #멸균우유세상밍밍함 #내취향은아닐세
'헷갈리는 국어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헷갈리는 국어 문법] '안'과 '않'의 차이 (0) | 2025.04.24 |
---|---|
[헷갈리는 국어문법] '참고'와 '참조'의 차이 (0) | 2022.06.21 |
[헷갈리는 국어문법] '-던지'와 '-든지'의 차이 (0) | 2022.03.27 |
한글 실행오류_could not load library(HncBL90.dll) 해결방법 (0) | 2022.03.14 |
숨어있는 내돈찾기[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 (0) | 2022.03.05 |